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은 웹 표준화를 위해 설립된 국제적인 컨소시엄이다. 1994년 팀 버너스리에 의해 설립되어, 웹 기술 표준 개발을 주도하며, HTML, CSS, XML 등 다양한 웹 표준을 제정한다. W3C는 전 세계 기관들의 참여를 통해 운영되며,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지역 사무소를 두고 있다. 2023년 비영리 단체로 개편되었으며, 웹 기술의 상호 운용성 확보를 목표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술 컨소시엄 - 오픈 네트워킹 재단
오픈 네트워킹 재단은 통신 산업 혁신을 위해 SDN, NFV, 클라우드 기술 등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인프라 개선 및 개방형 표준 추진을 지원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 기술 컨소시엄 -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OHA)는 구글을 중심으로 2007년 11월에 결성된 컨소시엄으로, 34개의 기업이 참여하여 안드로이드 모바일 플랫폼을 개발 및 발전시키고 개방형 표준 설계를 통해 혁신적인 모바일 기기 및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한다. - 웹 서비스 - 빅쿼리
빅쿼리는 구글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로, 드레멜을 기반으로 수조 행의 데이터에 대한 빠른 쿼리를 가능하게 하며, 데이터 관리, 쿼리 실행, 서비스 통합, 접근 제어, 기계 학습 기능을 제공한다. - 웹 서비스 - 시맨틱 웹
시맨틱 웹은 컴퓨터가 정보를 스스로 처리하도록 웹 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차세대 웹 기술로, RDF, OWL, XML 등의 표준 기술과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지식 베이스를 구축하여 데이터 통합, 정보 검색, 지식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웹 3.0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 웹 개발 - Ajax
Ajax는 웹 페이지 전체를 새로고침하지 않고 비동기적으로 서버와 통신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를 업데이트하는 웹 개발 기술로, XMLHttpRequest 객체의 등장으로 가능해졌으며 HTML, CSS, DOM, JavaScript, JSON 등의 기술을 통합하여 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 웹 개발 - WebXR
WebXR은 웹 브라우저에서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 콘텐츠를 구현하기 위한 API로, 다양한 장치 및 플랫폼에서 몰입형 웹 경험을 제공하며, 구글, 메타, 모질라 등 여러 기업과 단체가 개발에 참여하여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기능 향상을 목표로 한다.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 |
---|---|
개요 | |
명칭 |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
로마자 표기 | Woldeuwaideu Web Keonsosieom |
약칭 | W3C |
설립일 | 1994년 10월 1일 |
유형 | 표준화 단체 |
목적 | 웹의 장기적인 성장을 보장하는 프로토콜 및 지침 개발 |
본부 위치 | 미국매사추세츠주케임브리지 |
좌표 | 42° 21′ 43″ N 71° 05′ 26″ W |
서비스 제공 지역 | 전 세계 |
회원 | 460개 회원 단체 |
이끄는 사람 직책 | 이사 |
이끄는 사람 이름 | 팀 버너스리 |
직원 수 | 63명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사무소 | |
주요 사무소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CSAIL, 미국 |
유럽 사무소 | ERCIM, 프랑스 |
일본 사무소 | 게이오 대학교/SFC, 일본 |
중국 사무소 | 베이징 항공항천대학교, 중국 |
HTML 관련 정보 | |
관련 항목 | HTML 다이내믹 HTML HTML5 audio 요소 캔버스 요소 video 요소 XHTML Mobile Profile C-HTML HTML 요소 HTML 에디터 문자 인코딩 유니코드 Document Object Model 스타일 시트 (CSS) 웹 컬러 자바스크립트 WebGL WebCL W3C (밸리데이터) WHATWG 웹 스토리지 렌더링 엔진 |
비교 | 마크업 언어 HTML XHTML |
2. 역사
월드 와이드 웹의 창시자 팀 버너스리는 웹 기술의 표준화를 목표로 1994년 10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컴퓨터 과학 연구소에서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을 설립했다.[4][2] 이는 1993년 모자이크 브라우저 등장 이후 여러 개발사들이 독자적인 HTML 태그를 추가하며 발생한 웹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고, 특정 기업에 종속되지 않는 개방적인 웹 환경을 구축하기 위함이었다. W3C 설립에는 유럽 위원회와 인터넷의 전신인 ARPANET 개발을 주도했던 미국 국방 고등 연구 계획국(DARPA)이 자금을 지원했다.[2]
W3C는 설립 이후 웹 기술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핵심 목표로 삼고 웹 표준과 가이드라인 개발에 주력해왔다. 국제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1995년 INRIA를 유럽 호스트 기관으로,[6] 1996년 일본 게이오기주쿠 대학 SFC 연구소를 아시아 호스트 기관으로[6] 지정하며 공동 운영 체제를 마련했다. 이후 유럽 호스트는 2003년 ERCIM으로 이관되었고, 2013년에는 중국의 베이항 대학교가 네 번째 호스트 기관으로 합류했다.[8] 또한 1997년부터는 전 세계 주요 지역에 지역 사무소(World Office)를 설립하여 국제적인 활동 기반을 넓혀 나갔다.[7]
W3C는 꾸준한 표준 제정 활동 외에도 2012년 개방형 웹 표준 문서화를 위한 미디어위키 기반의 WebPlatform Docs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등 웹 생태계 발전에 기여해왔다. 2022년에는 W3C 웹 폰트 워킹 그룹이 웹 및 TV용 글꼴 기술 표준화에 기여한 공로로 미국 텔레비전 예술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에미상을 수상했다.[9] 2023년 1월 1일, W3C는 501(c)(3) 공익 비영리 단체로 공식 전환하여 운영되고 있다.[10][11]
2. 1. 설립 배경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리는 1989년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에서 근무하며 방대한 연구 논문을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연결하기 위해 문서 간 이동이 가능한 하이퍼링크 개념을 고안하고 글로벌 하이퍼텍스트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는 월드 와이드 웹의 기초가 되었다.[4]1993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기반의 웹 브라우저인 모자이크(Mosaic)가 등장하면서 웹 사용이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러 브라우저 개발사들이 경쟁적으로 독자적인 HTML 태그를 추가하면서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마다 다르게 보이는 호환성 문제가 심각해졌다. 웹 페이지 개발자들은 이러한 혼란 속에서 웹 기술의 표준화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팀 버너스리는 웹 표준 제정을 통한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확보를 목표로 1994년 10월 CERN을 떠나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을 설립했다.[4] W3C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컴퓨터 과학 연구소(LCS)에 기반을 두었으며, 유럽 위원회와 인터넷의 전신인 ARPANET 개발을 주도했던 미국 국방 고등 연구 계획국(DARPA)의 지원을 받았다.[2] W3C의 설립 목적은 특정 기업이 웹 기술을 독점하는 것을 막고, 모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서 웹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웹 언어와 프로토콜에 대한 개방적이고 공개적인 표준을 개발하고 장려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웹의 분열을 막고 업계의 합의를 이끌어내고자 했다.
초기에 W3C의 유럽 지부 운영은 CERN이 맡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CERN은 정보 기술보다는 본연의 연구 분야인 입자 물리학에 집중하기를 원해 참여하지 않았다. 대신 1995년 4월 프랑스 국립 정보학 자동 제어 연구소(INRIA)가 유럽 호스트 기관이 되었고, 1996년 9월에는 일본의 게이오기주쿠 대학 쇼난 후지사와 캠퍼스(SFC) 연구소가 아시아 호스트 기관으로 참여하여[6] MIT, INRIA, 게이오 대학의 3개 기관 공동 운영 체제가 시작되었다. 2003년 1월, 유럽 호스트는 INRIA에서 유럽 정보 처리 수학 연구 컨소시엄(ERCIM)으로 이관되었다. 이후 2013년 1월에는 중국의 베이징 항공항천 대학이 네 번째 호스트 기관으로 합류했다.[8]
W3C는 1997년부터 전 세계 주요 지역에 지역 사무소(World Office)를 설치하여 국제적인 표준화 활동 기반을 넓혀나갔다.[7]
2. 2. 설립 과정
월드 와이드 웹의 창시자 팀 버너스리는 스위스의 CERN에서 근무할 당시 방대한 연구 논문 속에서 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기 위해 문서 간 이동이 가능한 하이퍼링크 개념을 고안했다. 이를 바탕으로 1989년 글로벌 하이퍼텍스트 프로젝트, 즉 월드 와이드 웹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1993년 모자이크(Mosaic) 웹 브라우저가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면서 웹 사용이 급증했지만, 여러 브라우저 개발사들이 각자 독자적인 HTML 태그를 경쟁적으로 도입하면서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마다 다르게 표시되는 호환성 문제가 심각해졌다. 이에 웹 페이지 개발자들은 표준화된 태그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으며, 이는 W3C 설립의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은 1994년 10월, 팀 버너스리가 CERN을 떠난 후 미국 MIT의 컴퓨터 과학 연구소(LCS)에서 설립되었다.[4][2] 설립에는 유럽 위원회와 인터넷의 전신인 ARPANET을 개발했던 미국 국방부 산하 DARPA의 자금 지원이 있었다.[2] W3C는 초기에 MIT 캠퍼스 내 테크놀로지 스퀘어에 자리 잡았으나, 2004년 스타타 센터로 이전했다.[5]
W3C의 설립 목적은 웹 기술에 대한 새로운 표준을 개발하고, 업계 회원사들이 이 표준을 채택하도록 장려하여 웹 기술의 호환성을 높이고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는 데 있었다. 이를 통해 특정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웹 환경을 구축하고자 했다.
설립 초기 운영 구조를 갖추는 과정에서, 유럽 지역 호스트는 당초 CERN이 맡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CERN 측이 입자 물리학 연구에 집중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며 고사했다. 이에 따라 1995년 4월 INRIA가 유럽 호스트 역할을 맡게 되었다.[6] 1996년 9월에는 일본의 게이오기주쿠 대학 SFC 연구소가 아시아 지역 호스트로 참여하면서[6] MIT, INRIA, 게이오 대학의 3개 기관 공동 운영 체제가 확립되었다. 이후 W3C는 1997년부터 전 세계 주요 지역에 지역 사무소(World Office)를 설립하며 국제적인 협력망을 넓혀나갔다.[7]
2. 3. 운영 및 확장
W3C는 웹 표준과 가이드라인 개발이라는 설립 목적을 수행하며, 80여 개의 W3C 권고안을 발표했다. 또한 교육과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여하고, 웹에 관한 열린 토론 포럼을 개최해왔다. W3C의 핵심 목표는 웹 상호운용성 (Web Interoperability)으로, 기본적인 웹 기술의 상호 호환성을 확보하고 어떤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에서도 웹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웹 언어와 프로토콜에 대한 공개 표준을 제정하여 시장 분열을 막고자 한다.[4]월드 와이드 웹을 개발한 팀 버너스리는 1994년 10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를 떠난 후 W3C를 설립했으며[4], 창립 이후 현재까지 Director 직책을 맡고 있다. 설립 초기에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컴퓨터 과학 연구소(LCS)에 기반을 두었으며, 유럽 위원회와 인터넷의 전신인 ARPANET을 개척한 미국 국방 고등 연구 계획국(DARPA)의 지원을 받았다.[2] W3C는 1993년 모자이크 등장 이후 여러 브라우저 개발사들이 독자적인 태그를 도입하며 발생한 혼란 속에서, 웹 페이지 개발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HTML 등 웹 기술의 표준화를 이루기 위해 설립되었다. W3C는 모든 공급업체가 컨소시엄이 정한 핵심 원칙과 구성 요소를 따르도록 장려하여 웹 페이지 표시의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초기 유럽 지부는 CERN이 맡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CERN이 입자 물리학 연구에 집중하기를 원해 고사했다. 이에 따라 1995년 4월 프랑스 컴퓨터 과학 및 자동화 연구소(INRIA)가 유럽 호스트가 되었고, 2003년 1월에는 유럽 정보 처리 수학 연구 컨소시엄(ERCIM)으로 이관되었다. 아시아에서는 1996년 9월 일본 게이오 대학교 SFC 연구소가 호스트 역할을 맡았다.[6] 2013년 1월에는 중국의 베이항 대학교가 새로운 호스트로 참여했다.[8]
W3C는 1997년부터 전 세계에 지역 사무소(World Office)를 설립하여 국제적인 활동 범위를 넓혀왔다. 2016년 2월 기준으로 운영 중인 주요 지역 사무소는 다음과 같다.[7]
지역 | 담당 국가/지역 |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
베네룩스 | 베네룩스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벨기에) |
브라질 | 브라질 |
핀란드 | 핀란드 |
프랑스 | 프랑스 |
독일/오스트리아 | 독일, 오스트리아 |
그리스 | 그리스 |
헝가리 | 헝가리 |
인도 | 인도 |
이탈리아 | 이탈리아 |
이스라엘 | 이스라엘 |
대한민국 | 대한민국 |
모로코 | 모로코 |
러시아 | 러시아 |
세네갈 | 세네갈 |
남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스페인 | 스페인 |
스웨덴 | 스웨덴 |
영국/아일랜드 | 영국, 아일랜드 |
W3C는 웹 표준과 가이드라인 개발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교육과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참여하며 웹에 관한 열린 토론의 장을 제공해왔다. W3C의 핵심 목표는 웹 기술의 상호 호환성을 확보하여 어떤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환경에서도 제약 없이 웹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웹 상호운용성(eng)"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웹 언어와 프로토콜에 대한 공개적이고 반독점적인 표준을 제정하여 시장 분열과 웹의 파편화를 방지하고자 한다.
참고: 위 목록은 2016년 2월 기준이며, 일부 정보는 2009년 9월 기준[7]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W3C는 전 세계 40여 개가 넘는 국가, 지역, 국제 기관과의 관계(liaison)를 활성화하며 국제적인 참여를 유지하고 있다. 2004년 12월에는 창립 10주년을 기념하여 보스턴에서 웹과 W3C의 과거와 미래에 관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2012년 10월에는 주요 웹 관계자 및 출판사 커뮤니티와 협력하여 개방형 웹 표준 문서를 위한 MediaWiki 기반의 WebPlatform Docs 구축을 시작했다.
2022년에는 W3C 웹 폰트 워킹 그룹이 웹 및 TV 장치용 사용자 정의 글꼴 및 타이포그래피 기술 표준화에 기여한 공로로 미국 텔레비전 예술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에미상을 수상했다.[9] 2023년 1월 1일부로 W3C는 공익 501(c)(3) 비영리 단체로 공식 개편되었다.[10][11]
3. 표준화
월드 와이드 웹을 개발한 팀 버너스리는 W3C 창립(1994년) 이후 현재까지 디렉터(Director) 직책을 맡으며, W3C를 웹 기술에 대한 컨센서스를 이끌어내는 산업 컨소시엄으로 발전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W3C는 2004년 12월 창립 10주년을 기념하여 웹과 W3C의 과거와 미래를 조망하는 심포지엄을 보스턴에서 개최하기도 했다.
3. 1. 표준 제정 절차
W3C는 HTML5, CSS, SVG, WOFF, 시맨틱 웹 스택, XML 등 다양한 웹 기술에 대한 기술 규격을 개발한다.[12] 규격의 규모가 커지면 때때로 독립적인 모듈로 분할하여 각자 발전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듈이나 규격의 후속 버전은 '레벨'로 구분하며, 제목의 첫 번째 정수로 표시한다(예: CSS3는 레벨 3). 각 레벨 내에서의 후속 수정 사항은 소수점 뒤의 정수로 나타낸다(예: CSS2.1은 수정 1).
W3C 표준 형성 과정은 W3C 프로세스 문서에 정의되어 있으며, 새로운 표준이나 권고안이 완성되기까지 거치는 네 가지 주요 성숙도 단계를 설명한다.[13]
W3C 프로세스 문서에 따르면 권고안이 되기까지 다음 5단계를 거친다.
# 작업 초안 (''Working Draft, WD'')
# 최종 검토 작업 초안 (''Last Call Working Draft'')
# 권고 후보 (''Candidate Recommendation, CR'')
# 권고안 (''Proposed Recommendation, PR'')
# W3C 권고 (''W3C Recommendation, REC'')
각 단계별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고안은 별도로 공표되는 정오표(Errata)를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여러 갱신 내용을 묶어 새로운 판(edition)으로 만들기도 한다. W3C는 표준으로 취급될 의도가 없는 다양한 종류의 문서인 노트(Notes)도 공표한다.
권고안을 따를지 여부는 전적으로 제조업체에 달려 있다. 많은 표준은 여러 준수 레벨을 정의하며, 제품에 W3C 준수를 명시하려면 이 레벨을 따라야 한다. 다른 표준화 기구의 규격과 마찬가지로 W3C 권고안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13] 권고안은 특허 사용료를 내지 않아도 되는 라이선스로 제공되므로 누구나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인터넷 협회(ISOC)나 다른 국제 표준화 기구와 달리, W3C는 별도의 인증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는다. W3C는 현재로서는 인증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것이 커뮤니티에 이점보다는 잠재적인 해악을 끼칠 위험이 더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3. 2. 주요 표준
W3C는 웹 표준과 가이드라인 개발이라는 설립 목적에 따라 지난 10년간 80여 개의 W3C 권고안을 발표했다. 또한 교육과 소프트웨어 개발에 참여하며 웹에 관한 열린 토론의 장을 마련해왔다. W3C는 웹의 모든 잠재력을 이끌어내기 위해 가장 기본적인 웹 기술들이 서로 호환되어야 하며, 어떤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에서도 웹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목표, 즉 "웹 상호운용성(Web Interoperability)"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 웹 언어와 프로토콜에 대한 공개적이고 반독점적인 표준을 제정하여 시장 분열과 웹의 파편화를 막고자 노력한다.
W3C는 HTML5, CSS, SVG, WOFF, 시맨틱 웹 스택, XML 등 다양한 기술 규격을 개발한다.[12] 규격이 너무 커지면 자체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모듈로 분할하기도 한다. 모듈이나 규격의 후속 버전은 '레벨'로 표시하며(예: CSS3), 각 레벨의 수정판은 소수점 이하 숫자로 표시한다(예: CSS2.1).
W3C 표준 형성 프로세스는 W3C 프로세스 문서에 정의되어 있으며, 새로운 표준이나 권고안이 통과해야 하는 네 가지 성숙도 단계(Working Draft, Candidate Recommendation, Proposed Recommendation, W3C Recommendation)를 설명한다.[13]
다음은 W3C가 제정하거나 관리하는 주요 표준 및 기술 규격 목록이다.
4. 관리 및 운영
2023년 1월, W3C는 미국 MIT 컴퓨터 과학 및 인공지능 연구소, 프랑스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유럽 정보 처리 수학 연구 컨소시엄(ERCIM), 일본의 게이오기주쿠 대학, 중국의 베이항 대학 등과 28년간의 협력 운영을 거쳐, 공익 비영리 단체로 법인 설립되었다.[15]
W3C는 경영진에 의해 운영되며, 이들은 자원을 할당하고 전략을 설계한다. 2010년 3월 기준으로 노벨의 전 최고기술책임자(CTO)였던 제프리 자페가 최고경영자(CEO)를 맡고 있다.[17] 또한 전략 및 법률 문제를 지원하고 분쟁 해결을 돕는 자문 위원회를 두고 있다.[18][19] 2015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70~8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16]
표준화 작업의 대부분은 W3C의 다양한 워킹 그룹에 참여하는 외부 전문가들에 의해 수행된다.[20]
컨소시엄은 미국의 CSAIL, 프랑스의 유럽 정보 처리 수학 연구 컨소시엄(ERCIM), 일본의 게이오기주쿠 대학과 협력하여 운영되며, 전 세계 18개 지역에 지부를 두고 있다. 각 지부는 해당 지역의 웹 커뮤니티와 협력하여 W3C의 기술을 지역 언어에 맞게 조정하고 W3C 참여를 장려하는 활동을 한다.
5. 회원
전 세계 다양한 분야의 기관들이 웹 표준화를 위해 벤더에 중립적인 기구인 W3C에 참여한다. W3C의 기술전문직원과 회원들은 웹 표준 제정에 기여하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 이들은 점점 다양해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사용자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며 웹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기술을 설계해 나간다.
컨소시엄은 회원들에 의해 운영되며, 2022년 1월 기준으로 456개의 조직이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다.[39] 회원 목록은 공개되어 있으며[3], 주로 영리 기업, 비영리 단체, 대학, 정부 기관 등으로 구성된다.[21][45] 개인 회원 제도는 운영하지 않는다.[45]
회원 자격은 W3C의 심사와 승인을 거쳐야 한다.[22][46] 회원 가입을 위한 여러 지침과 요구 사항이 명시되어 있지만, 최종 승인 또는 거부 기준은 명확하게 공개되지 않았다.[22][46]
회원 비용은 모든 회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고, 신청하는 조직의 특성과 해당 조직이 위치한 국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된다.[23][47] 국가는 세계 은행에서 발표하는 최신 국민 총소득(GNI) 순위를 기준으로 분류된다.[24][48]
W3C의 국제적인 활동에는 전 세계 40개가 넘는 국가, 지역, 국제 기관과의 관계(liaison) 활성화도 포함되어 있어, 월드 와이드 웹 개발의 국제적인 참여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Compete.com의 조사에 따르면, 2008년 한 해 동안 1,100만 명 이상이 ''w3.org'' 도메인에 접속했다.[44]
6. 비판
2012년과 2013년에 W3C는 DRM 기술인 EME(Encrypted Media Extensions)을 HTML5 표준에 포함시키는 것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웹의 개방성, 상호 운용성, 공급업체 중립성이라는 W3C의 기본 원칙에 어긋난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EME 도입은 과거 플래시와 같은 특정 기업의 플러그인에 의존해야 했던 웹 환경과 다를 바 없다는 지적이었다.[25][26][27][28][29]
결국 2017년 9월 18일, W3C는 EME 사양을 공식 권고안으로 발표했다. 이에 반발하여 웹의 자유와 개방성을 지지하는 시민단체인 전자 프론티어 재단(EFF)은 W3C 회원 자격을 포기하며 항의의 뜻을 표했다.[30][31] EME 도입을 반대했던 이들의 우려대로, 2020년 기준으로 널리 사용되는 콘텐츠 해독 모듈(CDM) 중 브라우저 개발사가 별도의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없는 상황이다.[32][33]
또한 W3C의 표준 제정 과정에서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대규모 IT 기업들의 입김이 과도하게 작용한다는 비판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49] [50] 이는 웹 표준이 소수 거대 기업의 이해관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는다.
7. 한국과의 관계
W3C는 웹 표준화를 위해 전 세계 다양한 기관들과 협력하는 국제적인 기구이다. W3C의 활동에는 세계 40여 개가 넘는 국가, 지역, 국제 기관과의 협력 관계(liaison) 활성화가 포함되며, 이는 월드 와이드 웹 개발의 국제적 참여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W3C Invites Chinese Web Developers, Industry, Academia to Assume Greater Role in Global Web Innovation
http://www.w3.org/20[...]
W3C
2013-01-20
[2]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w3.org/C[...]
2022-03-21
[3]
웹사이트
Current Members & Testimonials
https://www.w3.org/C[...]
World Wide Web Consortium
[4]
뉴스
Can we imagine life without the World Wide Web?
https://www.deccanhe[...]
2022-07-01
[5]
간행물
The Past and Future of Kendall Square
https://www.technolo[...]
MIT Technology Review
2015-08-18
[6]
웹사이트
Press release: Keio University joins the MIT Laboratory for Computer Science and INRIA in Hosting the International World Wide Web Consortium
https://www.w3.org/P[...]
1996-09-09
[7]
웹사이트
W3C Offices
http://www.w3.org/Co[...]
2009-06
[8]
웹사이트
Beihang University Becomes Newest Institution to Host W3C
https://www.w3.org/2[...]
2013-01-20
[9]
문서
Technology & Engineering Emmys Winners Unveiled
Deadline
2022-04-25
[10]
웹사이트
W3C re-launched as a public-interest non-profit organization
https://www.w3.org/p[...]
2023-01-31
[11]
웹사이트
World Wide Web Consortium is now a public-interest nonprofit organization
https://news.mit.edu[...]
2023-02-02
[12]
웹사이트
Standards
https://www.w3.org/s[...]
World Wide Web Consortium
[13]
웹사이트
Development Process
http://www.w3.org/20[...]
W3C
2005-04-12
[14]
웹사이트
ERCIM – the European Research Consortium for Informatics and Mathematics
https://www.ercim.eu[...]
[15]
웹사이트
Facts about W3C
https://www.w3.org/C[...]
W3C
[16]
웹사이트
W3C people list
http://www.w3.org/Pe[...]
W3C
[17]
웹사이트
Dr. Jeffrey Jaffe, W3C CEO
https://www.w3.org/P[...]
[18]
웹사이트
W3C pulls former Novell CTO for CEO spot
http://www.itworld.c[...]
Itworld.com
2010-03-08
[19]
웹사이트
The World Wide Web Consortium: Building a Better Internet
https://www.maysdigi[...]
Mays Digital
[20]
웹사이트
Working Groups
https://www.w3.org/g[...]
[21]
웹사이트
Membership FAQ
http://www.w3.org/Co[...]
[22]
웹사이트
Join W3C
http://www.w3.org/Co[...]
[23]
문서
W3C Membership Fee Calculator
https://www.w3.org/C[...]
[24]
웹사이트
World Bank Country Classification
http://web.worldbank[...]
Web.worldbank.org
[25]
웹사이트
What I wish Tim Berners-Lee understood about DRM
https://www.theguard[...]
2013-03-12
[26]
웹사이트
BBC Attacks the Open Web, GNU/Linux in Danger
http://blogs.compute[...]
2013-02-13
[27]
웹사이트
DRM for the Web? Say It Ain't So
http://www.webmonkey[...]
Condé Nast
2013-02-12
[28]
웹사이트
Tell W3C: We don't want the Hollyweb
http://www.defective[...]
Free Software Foundation
2013-03
[29]
웹사이트
Lowering Your Standards: DRM and the Future of the W3C
https://www.eff.org/[...]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2013-10
[30]
웹사이트
HTML5 DRM finally makes it as an official W3C Recommendation
https://arstechnica.[...]
2017-09-18
[31]
웹사이트
An open letter to the W3C Director, CEO, team and membership
https://www.eff.org/[...]
2017-09-18
[32]
웹사이트
Three years after the W3C approved a DRM standard, it's no longer possible to make a functional indie browser
https://boingboing.n[...]
2020-01-08
[33]
웹사이트
After years of insisting that DRM in HTML wouldn't block open source implementations, Google says it won't support open source implementations
https://boingboing.n[...]
2019-04-03
[34]
웹사이트
PROV-Overview: An Overview of the PROV Family of Documents
https://www.w3.org/T[...]
2013-04-30
[35]
웹사이트
WebDriver
https://www.w3.org/T[...]
2022-06-24
[36]
웹사이트
WebXR Device API — W3C Candidate Recommendation Snapshot
https://immersive-we[...]
2022-03-31
[37]
간행물
Authoring XML all the time, everywhere and by everyone
Center of Excellence - Institute for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2010
[38]
웹사이트
XTiger language specification
https://www.w3.org/A[...]
2020-04-12
[39]
웹사이트
World Wide Web Consortium (W3C) Members
http://www.w3.org/Co[...]
2018-05-14
[40]
웹사이트
People of the W3C
http://www.w3.org/Pe[...]
2018-05-14
[41]
웹사이트
World Wide Web Consortium (W3C) About the Consortium
http://www.w3.org/Co[...]
2009-09-08
[42]
웹사이트
Addresses for W3C Offices’ Staff
https://www.w3.org/C[...]
2017-02-16
[43]
웹사이트
W3C Invites Chinese Web Developers, Industry, Academia to Assume Greater Role in Global Web Innovation
https://www.w3.org/2[...]
2017-02-16
[44]
웹사이트
W3C attracts 11m visitors online yearly
http://siteanalytics[...]
[45]
웹사이트
About W3C Membership
http://www.w3.org/Co[...]
2008-09-14
[46]
웹사이트
How to Become a W3C Member
http://www.w3.org/Co[...]
2008-09-14
[47]
웹사이트
W3C Membership Fee Calculator
https://www.w3.org/C[...]
[48]
웹사이트
World Bank Country Classification
http://web.worldbank[...]
[49]
웹사이트
Joe Clark writing in ''A List Apart''
http://www.alistapar[...]
[50]
뉴스
Critics clamor for Web services standards
http://www.news.com/[...]
CNET News.com
[51]
웹사이트
PROV-Overview: An Overview of the PROV Family of Documents
https://www.w3.org/T[...]
2013-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